티스토리 뷰

자동차를 구매하실 때는 자동차 차량가격뿐만 아니라 각종 옵션 비용에 취등록세도 함께 계산해야 최종적으로 부담해야 할 비용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 방법 및 계산기 사이트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마지막 부분에서 내 차가 자동차 취득세 및 등록세 감면 대상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썸네일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 방법

자동차 취등록세라는 것은 취득세와 등록세를 합친 말입니다. 취득세는 신차나 중고차를 구입 시 발생하는 세금이고 등록세는 내 명의로 등록 시에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보통은 취득과 등록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취등록세라고 붙여서 이야기합니다. 

 

자동차 취등록세의 계산 방법은 비영업용과 영업용으로 나누어 지고, 비영업용의 경우 승용차인지 승합차인지 등에 따라 나누어집니다.

  비영업용 영업용
경차 4%(75만원까지 면제) 4%
승용차 / 승합차(7~10인승) 7%
승합차(11인승 이상) / 화물차 5%

영업용의 경우에는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4% 일괄적용되고, 비영업용의 경우 경차의 경우에는 4%, 승용차의 경우 7%가 적용됩니다. 승합차는 몇 인승이냐에 따라 나누어지고 화물차는 5%가 적용됩니다. 신차의 경우에는 공급가액이 정해져 있어서 공급가액에 위의 세율을 적용하면 취등록세 계산이 끝나게 됩니다. 

 

중고차의 경우에는 공급가액이 정확하게 정해져 있기 않아 정부가 정한 과세표준액과 실제 거래가격인 차량기준가액 중에서 더 큰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되어집니다. 중고차 과세표준액의 경우 정부가 연차 등을 고려해서 정한 대략적인 가격으로 중고차 구입 시 과세표준액 보다 지나치게 가격이 높다면 가격이 맞는지 다시 한번 체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링크

위에서 정한 취등록세 계산 방법을 통해서 쉽게 계산이 가능하지만 복잡하다면 아래 링크를 방문해서 간단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종류를 선택하시면 취등록세 요율이 바로 입력되어지고, 차량가액을 입력하신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본인이 부담해야 할 취등록세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득세 및 등록세 감면 대상 체크

자동차 취등록세의 경우 내가 감면 대상일 경우 취등록세를 전액 혹은 일부 감면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경차의 경우 75만 원까지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0만원짜리 경차를 구입 시 4%인 80만원이 취등록세로 부과되지만 75만원 감면 혜택이 있어 5만 원만 납부하시면 됩니다. 전기차, 수소차의 경우에도 140만 원까지 감면혜택이 있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40만원까지 감면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수소차 같은 경우 정부혜택이 수시로 변할 수 있어 한 번 체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애인 1등급에서 3등급, 시각장애인 1등급에서 4등급, 국가유공자 1등급에서 7등급까지는 전액 감면 대상입니다. 주민등록 요건, 자동차 구입 대수 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내용을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