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환절기나 겨울에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정말 많이 늘었습니다. 비염에 주로 복용하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라는 말은 많이들 들어서 알고 있지만, 정확히 어떤 작용을 하고 어떤 주의점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항히스타민제의 종류 및 분류, 부작용, 주의점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참고 : 약학정보원 - 약물백과 -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Histamine)이란?
항히스타민제를 알기 전에 먼저 히스타민(Histamaine)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리 인체는 외부에 대항해서 자체적으로 방어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알레르기 반응이고, 외부에서 항원이 재침입할 경우에 비만세포에서 이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히스타민 수용체와 결합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H1~H4의 4가지 수용체가 존재하는데 알레르기와 관련된 수용체는 H1 수용체와 H2 수용체입니다.
H1 수용체 | 혈관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피부 가려움증 유발, 기관지 수축 |
H2 수용체 | 혈관 투과성 증가, 기관지 점막 분비 증가, 기관지 확장, 위산분비 증가 |
앞으로 살펴볼 항히스타민제와 관련있는 수용체는 주로 H1 수용체이고,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H1 수용체와 결합할 경우 콧물, 재채기,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 발적 등의 알레르기와 관련된 증상을 나타냅니다.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란?
항히스타민제란 위에서 살펴본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해서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을 없애거나 약화시키는 약물을 말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인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알레르기성 결막염, 피부 가려움증, 두드러기 등의 증상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발견 순서에 따라 크게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이성질체를 3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나누기는 하지만 크게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분류)
1세대 항히스타민제 | 2세대 항히스타민제 | |
특징 | 약효지속시간이 짧아 보통 하루 3~4번 복용 중추신경계 부작용으로 졸음 등의 부작용 심한 편 |
약효지속시간이 긴 편으로 보통 하루 1~2번 복용 혈액뇌장벽을 거의 투과하지 못해 졸음 등의 부작용이 적은편(사람에 따라 심한 사람도 있음) |
약물 <대표상품명> |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페니라민정>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 <액티피드정 포함> 히드록시진(hydroxyzine) <유시락스정> 피프린히드리네이트(piprinhydrinate) <푸라콩정> 메퀴타진(mequitazine) <프리마란정>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쿨드림연질캡슐> 디멘히드리네이트(dimenhydrinate) <보나링에이정> 메클리진(meclizine) <메카인정 포함> |
세티리진(cetirizine) <지르텍정> 로라타딘(loratadien) <클라리틴정> 에바스틴(ebastine) <에바스텔정> 케토티펜(ketotifen) <자디텐정> 아젤라스틴(azelastine) <아젭틴정> 베포타스틴(bepotastine) <타리온정> 올로파타딘(oloparadine) <알러텍정> 에메다스틴(emedastine) <레미코트서방성캡슐> 에피나스틴(epinastine) <알러지논정> 레보세티리진(levocetirizine) <씨잘정> 레보카바스틴(levocabastine) 펙소페나딘(fexofenadine) <알레그라정> 데스로라타딘(desloratadine) <에리우스정> |
1세대 항히스타민제의 비충혈제거제 등과 함께 코감기약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하고(클로르페니라민, 트리프롤리딘), 졸음 부작용을 이용한 수면유도제로 사용되는 약도 있고(디펜히드라민), 멀미약으로 사용되는 등(메클리진, 디멘히드리네이트) 다양한 용도로 일반약이나 처방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하루 1~2번 복용하고 졸음 등의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결막염, 두드러기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 부작용 및 복용 시 주의점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 진정작용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입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 비해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졸음의 부작용이 적거나 사람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알레르기성 비염 등으로 장기 복용할 경우에는 가급적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추천됩니다. 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장기 복용하더라도 내성이나 중독성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2세대 항히스타민제도 졸음의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1세대, 2세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때는 운전이나 위험한 작업시 복용을 피하거나 복용을 하더라도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항콜린 작용으로 인한 배뇨곤란, 시력장애 등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복용 시 소변이 안 나와서 더 고생할 수 있으니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녹내장 환자의 경우에도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항콜린 작용으로 목이나 입, 코 등의 건조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무가당 사탕 등을 입에 물고 계시거나 코 분무액 등을 뿌릴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의 경우 쿨드림, 제로민 등의 상품명으로 수면유도제로 시중에 나와있습니다.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한 성분인데, 심장 내의 칼륨 통로를 차단할 수 있어 부정맥 등의 심장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량 복용 등을 하시면 절대 안 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대원 키즈펜 판매중지 및 환불 방법 (0) | 2023.05.18 |
---|---|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거의 모든 것 (0) | 2021.12.01 |
멀미약의 종류 및 복용방법 (0) | 2021.11.17 |
경구피임약 복용시 주의사항 (0) | 2021.10.18 |
경구피임약 종류 및 복용법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