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 정부의 정책사업인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23년 6월 중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가입하시면 정부지원금과 비과세혜택 등을 보실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가입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3년 6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3년 6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23년 6월에 실행되는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등 12개의 주요 은행에서 가입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가입 신청을 하실 경우 소득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하실 수 있고 주기적으로 소득을 체크하는 유지심사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금리의 경우 23년 6월 12일에 최종 확정되어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공지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하시면 금리 체크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나이 조건 | 만 19세 ~ 만 34세 |
개인 소득 조건 | 6,00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조건 | 중위소득 180% 이하 |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 19세에서 만 34세까지의 청년이 가입 대상입니다. 이때 병력이행기간의 경우 미산입되어 만약 2년간 군복무를 했다면 만 36세의 청년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개인 소득이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기준 180% 이하일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구 소득은 조건을 충족하지만 개인 소득이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의 경우에는 가입하더라도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는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혜택은 크게 2가지입니다. 우선 정부에서 만기시 소득과 매칭비율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지원해 줍니다. 정부지원금의 경우 매칭비율과 월 기여금 한도가 있으니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소득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한도 |
1 ~ 2400만원 | ~ 40만원 | 6% | 월 2.4만원 |
2400만원 ~ 3600만원 | ~ 50만원 | 4.6% | 월 2.3만원 |
3600만원 ~ 4800만원 | ~60만원 | 3.7% | 월 2.2만원 |
4800만원 ~ 6000만원 | ~70만원 | 3% | 월 2.1만원 |
6000만원 ~ 7500만원 | 가입은 가능하나 정부지원금 없음 |
두 번째 혜택은 금융기관의 이자의 경우 비과세 헤택이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금리의 경우 3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자주 하는 질문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의 하나는 무직자의 가입여부입니다. 안타깝게도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 정책사업으로 무직자의 경우는 가입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혜택을 보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득활동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으로 다른 청년 지원 사업과의 중복 가능 여부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에는 청년도약게좌와 동시 가입이 불가해서 만기 후나 중도해지 시에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하고 계시는 청년분들은 만기 후 가입과 중도해지 가입 후의 혜택을 비교해서 유리한 방향으로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제외한 청년내일저축계좌나 청년내일채움공제, 각 지자체 상품 등과는 중복 혜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농협 무료운세 보는 방법 (0) | 2023.05.15 |
---|---|
23년 근로장려금 뜻 및 전화번호 (0) | 2023.05.06 |
미리캔버스 해지 및 환불 방법 (0) | 2023.05.04 |
2023 근로장려금 산정표 보는 방법 및 다운로드 파일 (0) | 2023.05.03 |
미리캔버스 디자인허브 기여자 가입 방법 (0) | 2023.05.03 |